유전능력으로 선발한 뒤 영양가 조절, 고급육 출현율 높아져

유전능력(육종가)을 이용해 선발한 거세한우의 영양가(TDN)를 조절하면 비육 기간은 줄이고 고급육 출현률은 높일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대비해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육종과 사양을 융합한 시험 결과를 제시했다. 

 

한우농가의 거세우 평균 출하월령은 31.7개월(2014년)로 고급육 사양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고급육을 위해 오랜 시간 비육하게 되면 증체량이 둔해지고 사료효율의 저하로 생산 비용이 는다. 그러나 비육 기간을 줄이면 근내지방이 감소하므로 어쩔 수 없이 장기 비육을 하는 실정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부모의 혈통과 표현형1) 정보를 이용한 육종가2)로 근내지방도를 보완할 수 있는 사양시스템을 제시했다. 먼저, 한우 8,779마리의 혈통 정보와 1,200마리의 표현형 정보를 이용해 육종가를 추정하고 이 육종가를 이용해 거세한우 26마리를 선발했다. 육종가는 근내지방을 기준으로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시험에 이용했다. 이들 소에게 배합사료 영양 수준을 육성기(생후 6개월령∼11개월령) TDN 71%, 비육 전기(생후 12개월령∼19개월령) TDN 74%, 비육후기(생후 20개월령~29개월령) TDN 76%∼77%로 급여했다. 그 결과, 높은 육종가 그룹에서 근내지방도가 평균 1등급 상승했다.

 

KPN 육종가 정보는 한국종축개량협회 누리집(www.aiak.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을 30개월 이하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권응기 한우연구소장은 “이번 시험 결과가 한우 산업이 겪고 있는 비육기간 단축 같은 현안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______________________

1) 개체가 가지는 형질로 여기서는 도체형질(마블링성적 등)을 이야기함.
2) 차세대의 특정한 양적형질의 평균치로 여기서는 육질형질의 육종가를 이야기함.

[문의]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장 권응기, 한우연구소 정기용 033-330-0613 

저작권자 © 농어업경제귀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